티스토리 뷰

한국은행에서 발행한 '경제금융용어700선' - '국외순수취경상이전, 국외순수취요소소득, 국외저축'입니다.




 

경제금융용어700선 - 국외순수취경상이전, 국외순수취요소소득, 국외저축
경제금융용어700선 - 국외순수취경상이전, 국외순수취요소소득, 국외저축




국외순수취경상이전


  국외순수취경상이전은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에 반대급부 없이 일어나는 이전거래로 국외수취경상이전에서 국외지급경상이전을 차감하여 구하며 거래주체에 따라 민간이전과 공공이전으로 구분할 수 있다. 따라서 국외수취 경상이전은 민간이전수입과 공공이전수입으로 나눌 수 있는데 민간 이전수입은 국외근로자 및 교포 등의 국내송금 등이 포함되며 공공 이전수입에는 조세 및 공과, 군사 및 기술원조금 등이 포함된다. 또한, 국외지급경상이전 역시 민간이전지급과 공공이전지급으로 나눌 수 있으며 자세한 거래는 민간이전수입과 공공이전 수입의 반대이다.

연관검색어 : 국내총생산(GDP), 국민총소득(GNI)

2023.07.02 - [경제/경제용어] - 국내총생산(GDP)

 

국내총생산(GDP)

한국은행에서 발행한 '경제금융용어700선' - '국내총생산(GDP)' 입니다. 국내총생산(GDP; Gross Domestic Product)은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, 기업,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가 일정 기간 동안 생산활동

mangobanhanga.tistory.com

 

2023.07.02 - [경제/경제용어] - 국민총소득(GNI)

 

국민총소득(GNI)

한국은행에서 발행한 '경제금융용어700선' - '국민총소득(GNI)' 입니다. 국민총소득(GNI; Gross National Income)은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로서 외국으로부터 국민(

mangobanhanga.tistory.com

 

 


국외순수취요소소득

 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한 나라의 국민이 국외에서 노동, 자본 등의 생산요소를 제공한 대가로 받은 국외수취요소소득에서 국내의 외국인이 생산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한 국외지급요소소득을 차감한 것으로 국외순수취 기업 및 재산소득과 피용자보수를 더하여 구한다. 즉,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국내에서의 모든 경제주체가 생산활동에 참여한 결과 발생한 국내총생산과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활동에 참여한 결과인 국민총소득의 차이를 말한다.

연관검색어 : 국내총생산(GDP), 국민총소득(GNI)


 


국외저축

  개별 경제주체가 모자라는 돈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조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국민경제에서도 투자가 저축을 초과하게 되면 부족한 돈을 국외로부터 조달하게 되는데 이를 국외저축(foreign savings)이라고 한다. 국외저축은 경상수지적자와 일치하며 경상수지적자는 순국외채무(국외채무-국외 채권)의 증가로 보전된다.

연관검색어 : 저축률/총저축/평균소비성향/평균저축성향, 투자율

 

 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