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경제/경제용어

고정분류여신

mangobanhanga 2023. 7. 30. 10:20

한국은행에서 발행한 '경제금융용어700선' - '고정분류여신' 입니다.

 

 


경제금융용어700선-고정분류여신
경제금융용어700선-고정분류여신

 

  금융기관은 정기적으로 차주의 채무상환능력과 금융거래 내용 등을 감안하여 보유자산의 건전성을 5단계(정상, 요주의, 고정, 회수의문, 추정손실)로 분류하여 각각 그에 상응하는 적정 수준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하여야 한다. 고정분류여신은 차주 채무상환능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요인이 현재화되어 채권회수에 상당한 위험이 발생한 여신 또는 3개월 이상 연체하거나 부도가 발생한 차주의 여신 중 담보처분에 의한 회수예상가액 해당 여신을 말한다. 현행 [은행업 감독규정]에서는 고정분류여신에 대한 대손충당금은 기업 및 가계 모두 20% 이상 적용하여 적립하도록 규정하고 있다. 예를 들어, 기업 여신액 100억 원 중 회수가능금액이 80억 원일 경우 최소 16억 원 이상 대손충당금으로 적립하여야 한다.

연관검색어 : 자산건건성 분류

반응형

'경제 > 경제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고정자본소모  (0) 2023.07.31
고정이하여신비율  (0) 2023.07.30
고정금리부채권(SB)  (0) 2023.07.29
고정금리  (0) 2023.07.29
고용유발효과/취업유발효과  (0) 2023.07.28